
TOP10. 피지 – k2, k3, k201
좁은 섬나라인 관계로 약 3500명의 병력을 소유하고 있는 피지.
2006년, 피지 쿠데타 당시 피지군 대다수가 k2 소총을
사용하고 있는 모습이 여러 사진들을 통해서 포착되었다.
TOP9. 말라위 / k2, kc2
아프리카 동남두에 위치한 말라위군은
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기도 한데,
기존에 사용하던 M16 소총 대신에, 우리 기술로 개발된
k2 와 kc2로 무장하며 주력화기를 전환하였다.
TOP8. 페루 – K2
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제식소총으로, 페루에서는 해군보병부대
infanteria de Marina del Peru가 k2소총을 사용하고 있다.
k2 자동소총 외에도 기아자동차에서 만든 군용차 또한
보급되어 사용중이라고 한다.
TOP7. 레바논- k2 RIS
군대에서는 평범한 소총인 k2이지만, RIS튜닝을 거치면
많은 단점이 사라지는 소총이기도 하다.
레바논군이 사용하는 k2 ris는 개량형으로,
우리나라 k2 소총과는 달리 레일 핸드가드가 장착되어있다.
TOP6. 세네갈 – k1a
2003년 10정의 k2 자동소총을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
K1A 기관단총까지 도입하기 시작한 세네갈.
세네갈의 특수부대인 코만도부대와 세네갈군이 사용하고 있는
k1a기관단총은 한국 최초의 자체 개발 총기이기도 하다.
TOP5.나이지리아 – k2
K2 자동소총을 최초로 도입한 국가이기도 한 나이지리아는
무려 1983년부터 6,000 정 이상의 k2자동소총을 수입해갔는데
당시 대통령 선거 등에 앞서 자주 발생하던 암살사건을 대비하려
전력을 증강시키는 목적으로 수입을 결정했다고 한다.
TOP4. 인도네시아 – k7
우리나라에서는 특전사, UDT 등 특수부대에서 주로 사용되는 무기인
k7 소음기관단총은 애초에 특수부대용으로만 생산된다.
인도네시아 해군의 전략 잠수 특수부대 komando pasukan Katak이
국산 k7 소음기관단총을 사용하고 있다.
TOP3. 요르단 – k14
2012년부터 요르단군이 사용하고 있는 K14 저격총은
무려 한 정에 13,000달러라는 높은 가격을 자랑한다.
대태러전이나 작전용 전투장비인 k14 저격총은, 우리나라에서는
특전사 및 전방 보병대대 저격반에 소량 보급되어 운용중이다.
TOP2. 필리핀 – k3
필리핀군은 2008년 6540정의 5.56mm k3 기관총을 도입했는데
이를 가격으로 환산하면 약 176억원어치이다.
수출 당시 진행된 30여개의 품질검사 테스트를 우수하게 통과하며
한국산 무기의 저력을 보여준 소총이기도 하다.
TOP1. 이라크 – K2C
M4에 대항하는 카빈형 소총 K2C 소총은
본래 이라크 특전사 골든중대 부대원들이 사용하고 있다.
수송과정에서 일부가 탈취되어 이슬람 무장단체 IS에게까지
흘러들어가기도 해 큰 논란이 된 적도 있다.
—
이 외에도 멕시코, 파푸아뉴기니, 방글라데시, 에콰도르 등
다양한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는 한국소총.
다른 산업에 비해 압도적인 가격을 자랑하는만큼
국가적 차원에서 국제 무기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하겠다.